프로그래머스문제정리 & Python잡다한것

프로그래머스[Python] - 방문 길이, 올바른 괄호, 피보나치 수

Jay x 2 2021. 7. 21. 15:33
728x90
반응형

방문 길이

문제 url : https://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49994

 

코딩테스트 연습 - 방문 길이

 

programmers.co.kr

문제 내용 : 게임 캐릭터가 4가지 방향에 대해서 이동한다.

  • U: 위쪽으로 한 칸 가기
  • D: 아래쪽으로 한 칸 가기
  • R: 오른쪽으로 한 칸 가기
  • L: 왼쪽으로 한 칸 가기

이때, 캐릭터가 이동한 총 길이를 구하라. 단, 이전에 이동한 거리는 제외한다.

알고리즘 : 단순 구현, 집합

올바른 괄호

문제 url : https://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2909

 

코딩테스트 연습 - 올바른 괄호

괄호가 바르게 짝지어졌다는 것은 '(' 문자로 열렸으면 반드시 짝지어서 ')' 문자로 닫혀야 한다는 뜻입니다. 예를 들어 "()()" 또는 "(())()" 는 올바른 괄호입니다. ")()(" 또는 "(()(" 는 올바르지 않은

programmers.co.kr

문제 내용 : 해당 문자열이 올바른 괄호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문제

알고리즘 : 스택(Stack) - 올바른 괄호는 Stack으로 판별, 단순 구현

피보나치 수

문제 url : https://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2945

 

코딩테스트 연습 - 피보나치 수

피보나치 수는 F(0) = 0, F(1) = 1일 때, 1 이상의 n에 대하여 F(n) = F(n-1) + F(n-2) 가 적용되는 수 입니다. 예를들어 F(2) = F(0) + F(1) = 0 + 1 = 1 F(3) = F(1) + F(2) = 1 + 1 = 2 F(4) = F(2) + F(3) = 1 + 2 = 3 F(5) = F(3) + F(4) =

programmers.co.kr

문제 내용 : 피보나치 수 구현하기

피보나치 수는 F(0) = 0, F(1) = 1일 때, 1 이상의 n에 대하여 F(n) = F(n-1) + F(n-2) 가 적용되는 수이다.

  • F(2) = F(0) + F(1) = 0 + 1 = 1
  • F(3) = F(1) + F(2) = 1 + 1 = 2
  • F(4) = F(2) + F(3) = 1 + 2 = 3
  • F(5) = F(3) + F(4) = 2 + 3 = 5

알고리즘 : 단순 구현, DP, 재귀(Recursive)

풀이과정 : 워낙 많이 풀어서 재귀로 하는 것 보다는 DP로 푸는 것이 익숙하다. 그리고 더 효율적이다.

반응형